정보/한국사 검정능력시험

붕당의 형성 이조전랑 척신청산 동인 서인 북인 남인 노론 소론 비교 대표 인물 #39 - 조선

s0und 2025. 4. 4. 02:56
728x90
반응형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대비를 위한 핵심 개념 정리 ✅
이번 글에서는 붕당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떤 인물과 사상이 연관되었는지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

붕당 조선시대 동인 서인 북인 남인 노론 소론
붕당 조선시대 동인 서인

🔎 붕당이란?

붕당은 조선 중기 이후 사림파가 정권을 장악하면서 발생한 정치적 분파입니다.
사림 내부에서 인사권과 정책 방향을 두고 의견이 갈리면서 붕당이 형성되었습니다.

⚖️ 붕당이 나뉜 주요 이유

원인 설명
이조전랑(吏曹銓郞) 문제인사권을 가진 이조전랑직을 누가 차지할 것인가에 대한 갈등
척신 청산외척과 부패한 권신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입장 차이
정치적 성향 차이개혁을 중시한 급진 세력과 점진적 개혁을 선호한 온건 세력 간의 대립

🏛️ 붕당의 형성과 사림파의 계보

사림은 고려 말부터 형성된 학맥을 계승하면서 성장했습니다.
주요 학자와 그들의 사상이 이후 붕당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학자 계보주요 인물
정몽주 → 길재 → 김숙자성리학의 도입과 학맥 형성
김숙자 → 김종직사림의 정치적 기반 확립
김종직 → 정여창, 김굉필, 김일손무오사화(1498)로 김종직, 김일손 숙청
김굉필 → 이언적, 서경덕, 조광조, 김인후갑자사화(1504)로 김굉필 숙청
조광조 → 기묘사화(1519)개혁 정치를 추진하다 숙청됨
조식, 이황, 이이, 성혼이후 동인과 서인의 사상적 기반 형성

🌿 동인과 서인의 분열

16세기 후반, 선조 때 사림파가 정권을 잡았지만 내부에서 붕당이 형성되었습니다.

붕당 주요 인물 특징
동인조식, 이황. 서경덕개혁적 성향, 척신 청산에 적극적
서인이이, 성혼온건한 개혁, 점진적 변화 선호

 
👉 이조전랑직 문제: 김효원(동인)과 심의겸(서인)이 이조전랑직을 두고 대립하면서 붕당이 본격적으로 갈라짐


🌱 동인의 분열: 북인과 남인

동인은 다시 두 갈래로 나뉘게 됩니다.

분파 주요 인물 특징
북인조식, 서경덕적극적 개혁, 강경한 정책 추진
남인이황온건한 개혁, 성리학적 학문 중시

🔥 서인의 분열: 노론과 소론

서인도 이후 다시 분열하게 됩니다.

분파  주요 인물특징
노론이이강력한 왕권과 개혁 추진
소론성혼신중한 개혁과 조정 역할 수행

붕당은 사림파가 정권을 잡으면서 내부 분열로 형성됨
이조전랑직과 척신 청산 문제로 동인과 서인이 대립
동인은 다시 북인(강경)과 남인(온건)으로 분열
서인은 노론(개혁)과 소론(중재)으로 분화
 
💡 이번 정리를 통해 붕당의 형성과정을 확실하게 이해하고, 시험에서 고득점하세요! 📚🔥
 
 
 

4대 사화 무갑기을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훈구파 사림파 비교 #38 - 조선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과정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조선시대 사화(士禍)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해요. 사화는 조선 중기 정치사의 핵심 사건으로, 훈구파와 사림

s0und.tistory.com

조선시대 행정조직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요약 정리 #40 - 조선]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에 자주 출제되는 조선시대 행정조직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조선은 유교적 통치 이념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중앙집권적 행정 시스템을

s0und.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