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한국사 검정능력시험

고려 후삼국 통일 전투 호족 정책 태조왕건 광종 최승로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요약 정리 #22 - 고려]

s0und 2025. 3. 16. 17:57
728x90
반응형

고려시대 초기, 고려를 건국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호족은 지방 세력을 기반으로 성장한 집단이었어요.

시험 대비를 위해 핵심 내용을 정리해볼게요! ✏️

 

호족의 등장과 고려 건국 🏰

📌 호족이란?

  • 신라 말, 중앙 정부의 통제가 약화되면서 지방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한 지배층
  • 군사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독립적인 권력을 행사

📌 고려 건국 과정에서의 호족 역할

왕건(태조) 이 호족들과 연합하여 후삼국을 통일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 호족들을 포섭하여 중앙 권력의 기반을 마련

⚔️ 후삼국 통일 과정 ⚔️

전투명  연도  결과
공산 전투 927년 고려 패배, 왕건 위기
고창 전투 930년 고려 승리, 후백제 세력 약화
일리천 전투 936년 고려 최종 승리, 후백제 멸망

👉 일리천 전투를 통해 고려는 후삼국을 통일하고 호족 중심의 연합 정치를 전개함.

공산 고창 일리천 전투
공산 고창 일리천 전투

 

✅ 고려 건국 (918)

✅ 신라 경순왕(김부)의 고려 귀순(935년) → 신라 멸망

✅ 고려의 후삼국 통일(936년)로 중앙집권 체제의 기초 마련


태조 왕건의 호족 정책 ⚖️

🏅 호족 포섭 정책 (당근)

  • 결혼 정책: 왕실과 호족 가문의 혼인을 통해 유대 강화
  • 사성 정책: 왕씨 성을 내려주어 고려 왕실의 일원으로 편입
  • 역분전 지급: 공을 세운 호족들에게 토지를 나눠줌

🔥 호족 견제 정책 (채찍)

  • 사심관 제도: 중앙에서 호족을 감시하며 지역 관리 역할 부여 (경순왕 김부)
  • 기인 제도: 호족의 자제들을 인질로 삼아 중앙에서 거주하게 함 -> 지방세력 경계

✅ 이러한 정책을 통해 태조는 호족과 연합하면서도 견제하는 균형 전략을 펼쳤어요.


태조의 국가 통합 정책 🌏

📌 민생 안정

  • 백성들의 부담을 덜기 위해 감세 정책(1/10 세금) 시행
  • 흑창 설치 → 빈민 구제 (→ 후대 의창으로 발전)

📌 북진 정책 🏹

  • 발해 유민 수용하여 고려의 세력 확장
  • 서경(평양) 중시 → 북방 지역 개척 추진 (청천강~영흥)
  • 거란과 대립을 대비하여 북방 지역 강화

태조 왕건의 북진정책
태조 왕건의 북진정책

태조의 정책은 고려가 호족 연합 정치를 기반으로 국가를 안정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어요.

 

📌 태조의 저서 📜

  • 정계: 정치 운영 원칙 제시
  • 계백료서: 관리들의 행동 지침
  • 훈요 10조: 후대 왕들이 지켜야 할 유훈 (불교 존중, 서경 중시 등)

왕규의 난 

정종(태조의 아들) 즉위 후 왕규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됨

✅ 왕규 세력 숙청 → 왕권 강화를 위한 발판 마련


고려 왕권 강화: 광종의 개혁 🔥

태조 사후, 호족의 영향력이 강해지면서 왕권이 약화되었어요.

이를 극복하기 위해 광종이 강력한 개혁을 단행했어요!

📌 호족 숙청 정책

노비안검법(956년): 억울하게 노비가 된 사람들을 양민으로 해방 → 호족의 경제·군사력 약화

과거제 시행(958년): 신진 세력(유학자) 등용 → 왕권 강화

공복 제정: 관리들의 서열 정리 → 왕 중심의 질서 확립

칭제건원: 독자적 연호(광덕, 준풍) 사용 → 자주적 왕권 강화

👉 광종의 개혁으로 고려는 호족 중심에서 중앙집권 체제로 변화함.


경종과 시정 전시과 📜

광종의 개혁으로 약화된 호족 회유

시정 전시과(976년) 실시 → 관료들에게 전지(토지)와 시지(임야) 지급

✅ 호족 세력과의 균형을 맞추려 했으나 왕권은 여전히 불안정함


성종과 최승로의 개혁 📜

최승로

  • 6두품
  • 유학자
  • 문벌 귀족 사회의 토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수용 → 유교 정치 기반 확립

12목 설치 및 지방관 파견 → 중앙집권 강화

2성 6부 체제 정비 → 중앙 행정 조직 확립

연등회 축소 & 팔관회 폐지 → 불교 행사 축소, 유교 정치 강화

👉 성종 대에 이르러 고려는 본격적인 중앙집권 체제를 확립함.

 


고려 후기, 호족에서 문벌귀족으로

호족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문벌 귀족으로 변모했어요.

구분  주요 세력  특징
호족 (고려 초기) 지방 세력 군사력과 토지를 기반으로 고려 건국에 기여
문벌 귀족 (고려 중기) 중앙 정계 진출한 호족 후손 과거제를 통해 관직 독점

 

✅ 호족 세력은 고려 중기에 들어서면서 점차 문벌 귀족화되며 중앙 정치의 핵심 세력이 되었어요.


 

고려 초기 호족은 강력한 지방 세력이었지만, 태조의 연합 정책과 광종의 개혁을 거치며 점차 문벌 귀족화되었어요. 📜

 

 

고려 전기 후기 훑어보기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요약 정리 #21 - 고려]

고려시대 구분 📜고려시대는 정치 권력의 변화에 따라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눌 수 있어요.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대비를 위해 핵심 키워드와 개념을 정리해볼게요! 🏆📌 고려 전기 (918~1170

s0und.tistory.com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 2성 6부와 중추원 어사대 삼사, 재추 회의까지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은 당나라와 송나라의 영향을 받으며 형성되었습니다.그 중에서도 2성 6부 제도와 삼사, 중추원, 어사대 등은 고려 정치의 핵심적인 기관들로,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대

s0und.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