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한국사 검정능력시험

고려시대 유학 사학12도 관학진흥책 성리학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요약 정리 #32 - 고려]

s0und 2025. 3. 27. 11:55
728x90
반응형

호족 시대 유학: 성종과 최승로

고려 초기, 호족들의 세력이 강했던 시기에 유학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성종과 최승로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중앙 교육기관: 국자감 설립 

성종은 최승로의 건의를 받아들여 992년에 국자감을 설립했습니다. 

국자감 - 유학부 / 기술학부

지방 교육기관: 향교 설립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에도 교육기관이 필요했죠. 그래서 설립된 것이 바로 향교입니다.

 

과거 제도의 정비 📜

광종 때 쌍기의 건의로 과거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 명경과(경전), 제술과(논술): 유학부
  • 잡과: 기술학부
  • 승과: 승려 선발
  • 무과는 없었음

문벌귀족 시대 유학: 사학 12도와 관학 진흥책 

문벌귀족들이 세력을 떨치던 시기, 유학 교육은 어떻게 변화했을까요?

사학 12도의 등장 🏫

  • 12개의 사립 교육기관 설립
  • 대표적인 예: 최충의 9재학당 (문헌공도)
    • 최충은 '해동 공자'로 불렸어요!

관학 진흥책 📈

사학의 발전에 맞서 관학을 진흥하기 위한 정책들이 실시되었습니다.

정책  내용
양현고 관학 진흥을 위한 장학재단
전문 7재 국학에 설치한 7개의 전문 강좌

무신 정권기: 유학의 쇠퇴 📉

1170년 무신정변 이후,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하면서 유학은 잠시 주춤하게 됩니다.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의 시대: 성리학의 도입 🌟

원 간섭기에 접어들면서 유학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됩니다.

성리학의 도입

안향이 원나라에서 성리학을 들여와 고려에 소개했습니다.

신진사대부의 등장

성리학을 수용한 신진사대부들이 등장합니다. 대표적인 인물들을 살펴볼까요?

  • 이제현, 이색, 정몽주, 정도전

특히 이제현의 활동 기억

  • 만권당 설립
    • 충선왕이 원의 수도에 지은 독서당으로, 고려와 남송의 학자들이 교류했어요.
  • 저서: 《역옹패설》

 

 

고려 신분제 사회 법률 의료 기구 제도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요약 정리 #31 - 고려]

고려의 신분제 📜고려 사회는 엄격한 신분제로 이루어졌어요. 크게 귀족, 중류층, 양민, 천민으로 나뉘었답니다. 신분  특징귀족호족 → 무신 → 권문세족으로 변화 중류층하급 관리 계층 🏛

s0und.tistory.com

 

 

고려 역사서 삼국사기 삼국유사 김부식 해동고승전 샤락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요약 정리 #3

호족과 실록, 구삼국사고려 건국 초기, 지방에서 막강한 힘을 발휘했던 세력은 호족입니다.이 시기에는 역사서인 실록과 구삼국사가 있었지만, 지금은 전해지지 않습니다구분 내용실록고려 전

s0und.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