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심폐소생술(CPR)을 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반려견이 갑자기 심장마비를 겪거나 호흡이 멈추는 상황은 매우 긴급하고 두려운 순간이죠.
이런 상황에서 강아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심폐소생술이 필수적이에요.
오늘은 강아지 심폐소생술의 필요성과 방법, 그리고 CPR 후의 조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
심폐소생술의 필요성
심폐소생술은 강아지가 어떤 이유로 호흠 정지가 왔을 때
생명을 구하기 위해 흉부 압박과 인공호흡을 하는 것이에요
심정지 후 4분이 지나면 뇌 손상이 시작되고 1분당 7~10% 비율로 생존 확률이 떨어지게되요
하지만 4~5분 사이에 적절한 조치가 이뤄지면 특별한 조직 손상 없이 회복할 수 있어요!
심장마비의 원인
심장병, 기도폐색, 외상, 신진대사 이상, 쇼크, 물에 빠지는 등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어요
그럼 이제 어떻게 CPR을 하는지 알아볼까요?
심폐소생술 방법과 단계
1. 의식 확인 하기
- 흔들어보고,
- 발가락 꼬집어보고,
- 안검 반사를 확인해요
안검 반사란
눈 양쪽을 두드려 보고 눈 깜빡임을 확인하는 것이에요
2. 숨을 쉬는지, 심장이 뛰는지 확인
의식이 없다면
숨을 쉬는지 심장이 뛰는지 확인해요
호흡을 확인
흉강에 손을 대보아 들썩거리는지 확인해요
또 코에 귀를 대어 숨소리를 확인해요
심장 박동을 확인
흉강에 손을 대어 심장 박동을 확인해요
또 허벅지 안쪽에 맥박을 확인해요
이때,
심장은 뛰고 호흡만 없는 경우에는
인공 호흡만 진행하고 동물 병원으로 가야해요
의식이 없고, 심장박동이 없고 호흡도 없다면
바로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해요
3. 기도 확보
- 입을 벌리고
- 혀를 빼내고
- 구강 안의 이물을 손으로 제거해줘요
구강 안의 이물질이 기도로 넘어가면 폐렴을 유발할 수 있으니 꼭 제거해줘야 해요
이제
올바른 자세를 취해줘야해요
- 목을 쫙 펴주고
- 고개를 아래 방향으로 하여
침이 넘어가지 않고 호흡은 잘 되도록 자세를 취해줘요
4-1. 흉부 압박 - 소형견
- 팔꿈치를 접어보고
- 팔꿈치가 흉부에 닿는 부분에 심장이 있어요
- 이 부위에 엄지를 올려 흉부를 압박해요
1초에 2번 속도로 압박을 해줘요!
손이 크다면 한손으로 손이 작다면 두손으로 압박해주시면 되요
충분한 깊이로 압박이 필요해요
몸통 높이의 1/3이나 1/4 깊이 까지 눌러줘야해요
4-2. 흉부 압박 - 흉강이 깊고 좁은 견
진돗개, 도베르만 같은 체형이에요
- 팔꿈치를 구부려서 팔꿈치가 닿는 부위를 찾아줘요
- 해당 부위에 손바닥을 올리고,
- 반대쪽 손을 감싸줘요
- 견주의 상체 무게로 눌러줘요
누를때 중요한 점은 팔이 절대 구부러지면 안돼요!
팔을 편 상태로 상체 무게로 압박해줘요
1초당 2회 속도로 총 30회 눌러줘요!
4-3. 흉부 압박 - 흉강이 동글동글한 견
리트리버, 로트와일러 같은 체형이에요
- 가장 높게 솟은 부분에
- 팔을 올려주세요
- 팔을 곧게 펴고
- 상체 무게로 압박해줘요
이때도 누를때 중요한 점은 팔이 절대 구부러지면 안돼요!
1초당 2회 속도로 총 30회 눌러줘요!
5. 인공 호흡
강아지의 볼은 뒤쪽에 위치해있어요
양쪽의 입을 손으로 잘 감싸주세요
입술로 공기가 샐 수도 있기 때문에 입술 뒤 쪽을 잘 감싸 주어야 해요
그리고
코에 숨을 불어넣어요
2번 불어주시면 되요
30대 2 원칙
- 30번의 흉부압박 후
- 1초당 2회 속도로 총 30회 눌러줘요
- 2번의 인공호흡을 해요
- 총 4세트를 진행해요
상태 확인
다시 올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흔들어보고, 꼬집고, 안검반사를 확인해요
상태가 돌아오지 않는다면
다시 CPR을 진행해줘요
의식, 맥박, 자발호흡 3가지 중 하나라도 돌아온다면
올바른 상태를 유지한 후 병원으로 신속히 이동해줘요
아래 영상을 참고했으니 확인해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IYqDx8NDAcU
심폐소생술 후 주의사항
CPR을 시행한 후에는 강아지의 상태를 계속 체크해야 해요.
호흡이 돌아오더라도, 강아지가 안정될 때까지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해요.
또한, 수의사와 상담하여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한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강아지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팁
강아지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예방접종이 필수적이에요.
또한, 강아지의 행동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해요.
아프기 전에 미리 알아차리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필요가 없겠죠? 🐾
강아지 심폐소생술은 위급한 상황에서 강아지를 구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에요.
미리 준비하고 연습해두면, 실제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여러분의 소중한 반려견을 위해 꼭 알아두세요! 💖
'강아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한 강아지 성격 유형 & 성격 유형에 따른 대응 (3) | 2024.11.13 |
---|---|
강아지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장난감 추천 (4) | 2024.11.09 |
강아지는 주인 없이 몇 시간을 기다릴 수 있을까요? (36) | 2024.10.29 |
강아지 다리에 무리가 가는 견주의 행동 (0) | 2024.10.28 |